본문 바로가기

하얀 벽의 고백

  • 전시기간 23.03.18 - 23.04.09
  • 전시장소 기획 : 이경미 / 작가 : 신창용, 조영주 그리고 박관우, 이연숙, 신선주
  • 전시작가 기획 : 이경미 (프로젝트비아비) 작가 : 신창용, 조영주 그리고 박관우, 이연숙, 신선주

H아트랩 2기 전시 Part 2.
하얀 벽의 고백 (Voices from the Walls)


벽은 힘이 아니라 두려움의 상징이다. 벽들은 우리가 다른 사람들과 함께하며 더 나은 세상을 만들 확신이 없음을 보여준다.”
-
마사 누스바움 가디언지와의 인터뷰, 2016

 
좋은 벽이나 나쁜 벽 같은 것은 없다. 벽은 언제나 그것을 만드는 사람들에 따라 달리 작용하기 때문이다.
-
미셸 푸코 감시와 처벌, 1975

 

여기, 벽이 서있다. 수용소의 거대한 담장에서부터 쇼핑몰을 구획하는 단지, 지하철 플랫폼, 일터의 파티션, 화장실 칸, 개인의 방에 이르기까지 우리는 크고 작은 벽에 둘러싸여 살아간다. 공간을 분리하고 가치를 ()배치하는 방식으로 작동되는 사회에서 개인은 자기 보전을 위해 벽들을 계속 세운다. 물리적인 방식뿐만 아니라 인식 속에서도 말이다. 이 벽들은 나(우리)와 타인(그들)을 구분짓고 자신의 취약성을 벽 너머로 밀어버리는 수단이 된다. 이때 중요한 것은 와의 연결 지점이 없어야 한다는 것이다. 벽을 사이에 두고 밀어낸 그들은 드라마틱한 스토리로 소비되기도 하고 자본주의 산업 체계 안에서 일종의 노동력으로 치부되기도 한다. ‘와는 달라서 참 다행이다! 벽들은 이렇게 두려움을 내려놓고 안심하도록 만든다.
 
전시 <하얀벽의 고백>에서는 벽 너머의 존재들을 불러낸다. 여기로 소환된 엄마, 이주민, 히어로는 그간 벽 너머에 존재하던, 당신이 세운 벽에 의해 규정되는 인물이 아니다. 사회적으로 고정된 역할과 쓰임의 틈새에서 미끄러지거나 자기식대로 전유한 주체들이다. 육아와 돌봄이라는 보이지 않는 노동의 반복에서 소진되기를 멈추고 자신의 현재를 드러내며 연대하기 위한 리듬을 발견하거나, 시공간 여기서 저기로의 이동과 정착의 과정을 통해 고정된 삶의 양식과 사회적 인식에 대항하기도 한다. 또한 자아실현의 강박에서 벗어나 라면으로 한 끼를 때우며 유유자적한 시간을 즐긴다. 이들은 일상에 찌들고 사회적 정체성에 종종 회의감을 갖는 당신과 일면 닮아있다. 벽을 가운데 두고 당신과 그들 사이에 가로막혀있던 연결선이 미약하게나마 생기는 순간, 대상화했던 시선을 거두고 그들을 바라보며 서로를 쓰다듬을 수 있다. 우리 모두의 취약성에 공감하는 몸짓으로서 말이다.

이경미 (독립 기획자)

 

 
 
(왼쪽) 조영주, 콜레레, 2022, 단채널 영상 , 4분21초/10분 (안무 & 공동 연출: 임은정) / Cho Youngjoo,Colere, 2022, Single channel video, 4min 21sec/10min (Choreography & Co-direction: Im Eunjoung)
(오른쪽) 조영주, 풀 타임-더블: 10월 9일, 2022, 울사,  110☓400cm / Cho Youngjoo,  Full Time-Double: 9 Oct., 2022, Wool, 110☓400cm 
  
 
(왼쪽) 프로젝트비아비(박다애, 이경미), ‘당신은 자유로운가’ 테스트, 2022-2023, 데이터 시각화, 단채널 영상, 3분 9초 (디자인: 김민재) / Project ViaB(Park Daae, Lee Mia Kyoungmi), ‘Test: Are you free from this?’, 2022-2023, Data visualization, Single channel video, 3min 9sec (Design: Kim Minjae)
(오른쪽) 이경미, CITY CRACK#4, 2022, 철 프레임에 베를리너 판형(28.5mm☓39.5mm) 연구서, 가변설치 / Lee Mia Kyoungmi, CITY CRACK#4, 2022, Berliner plate(28.5mm☓39.5mm) research paper on metal frames, variable installation
박관우, 달콤한 꿈의 한 면, 2023, 바이널 컷 프린트, 362cm☓263cm / Park Kwanwoo, One Side of a Sweet Dream, 2023, vinyl cut print, 362cm☓263cm
신선주, 하얀 색조의 방식  Grand Central Terminal, 2023, 일포드 캔버스지 위에 오일파스텔, 아크릴릭 물감, 잉크젯 프린트(Ultra chrome pigment), 81.5cm☓122cm (액자 사이즈:145.5☓96.5☓12.5cm)

(왼쪽) 신창용, NFT 아트, 2023, 단채널 영상, 사운, 각 30sec / Shin Changyong, NFT art, 2023, Single channel video, sound, 30sec each.
(오른쪽) 신창용, Thor, Chewbacca, Rambo and Joker, 2022, 캔버스에 아크릴릭, 130cm☓130cm / Shin Changyong, Thor, Chewbacca, Rambo and Joker, 2022, acrylic on canvas, 130cm☓130cm

 
이연숙, 하얀 벽, 2023, 혼합매체, 38☓50cm / Lee Yeonsook, White Wall, 2023, mixed media, 38☓50cm